상수2 (JAVASCRIPT) 상수와 변수 Const - SNAKE_CASE 재할당이 불가능한 상수와 변수 const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 상수와 변수 const const는 선언은 블록 범위의 상수를 선언합니다. 상수의 값은 재할당할 수 없으며 다시 선언할 수도 없습니다. 재할당이 가능한 let과 재할당이 불가능한 const의 차이를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// let 재할당 가능한 let name = "서근"; console.log(name); name = "미진"; console.log(name); // const 재할당이 불가능한 // 1. 상수 // 2. 상수변수 혹은 변수 const seogun = "서근"; console.log('seogun:', seogun); seogun = "미진"; // console.log(seogun); //TypeErro.. FRONT-END/JAVASCRIPT 2022. 8. 11. Swift : 기초문법 [ 변수와 상수] 본 게시글은 yagom님의 Swift 프로그래밍 3판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. 변수와 상수 변수와 상수는 특정 데이터 타입에 해당하는 값의 이름입니다. 변수는 생성 후 데이터값을 변경할 수 있지만, 상수는 값을 설정하면 변경할 수 없습니다. 변수 Swift에서 변수를 생성하려면 var 키워드를 사용합니다. 형태는 아래와 같습니다. var [ 변수명 ] : [ 데이터 타입 ] = [ 값 ] 변수를 생성할 때 데이터 타입은 생략할 수 있습니다. (비추천) TIP 데이터 타입 생략 변수를 생성할때 데이터 타입을 생략하게 되면 컴파일러가 변숫값의 타입을 스스로 추론하여 지정합니다. 이러한 기능을 타입추론이라고 합니다. 하지만 이 기능을 초보자들이 사용하게되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타입 추론을 많이 .. SWIFT/Grammar 2021. 2. 18. 이전 1 다음 한국어 (기본) English Русский 日本語 👉🏻 잠깐만요! 이 글도 한 번 보고 가세요 이전글 다음글 티스토리툴바 서근 개발노트구독하기